정부가 6,27 규제 대책 후 언론사들마다.
부동산 해법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기사가
연일 지면에 대서특필하고 있다.
그 가운데 눈에 띄는 가사 가운데
지금 대한민국은 부동산을
어디에 소유하고 있느냐 따라
강남 부동산은 삶의 조건이자 사회적 계급이
정해졌다는 기사를 보고
몇 마디 하고자 한다.
예전에도 강남 3구와 그 외 지역 간의
부동산 가격이 차별화는 있었다.
강남이 오르면 인근 지역으로 번져
지방 부동산까지 균형을 이루며
동반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부동산 값이 가장 많이 올랐던
시기에도 차별화는 있었어도
상호 균형을 맞추어 유지했었는데
윤석열 정권이 들어서고
모든 부동산이 다 오르는 게 아니고
오르는 것은 더 많이 오르고 지방은
부동산 가격이 아예 마이너스가 된 경우가 많다.
그나마 수도권까지는 미미 하나마
부동산 가격이 마이너스까지는 가지 않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이 왜 생겼을까?
대한민국을 전체를 놓고 보면 주택보급율이 높아졌다고 본다.
첫째 지방은 공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러운 노인 사망률율에
경제력이 없는 노인인구까지 늘면서
인구 소멸 지역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지역 경제가 선순환이 안되다 보니
더구나 지방 경제활동 가능 인구마저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숫자가 점점 늘어나
부동산 수요가 더욱더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둘째, 수도권은 소득의 불균형으로 30~40세대와
40~50세대의 소득 격차가 큰 폭으로
벌어져 상위 10% 범위의 고소득자의
계급 상승에 사회적인 분위기에 편승하여
똘똘한 한 채에 투자하는 것이 최고의 재 테크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강남 개발한지 40년이 넘어 이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모든 인프라가 갖추어져
명실상부 대한민국 중심지역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하루아침에 이런 인프라가 있는 도시가
생길 수도 없다 보니 강남 3구의 아파트가
구축이 되었던 신축이 되었던 희소성으로
부각되어 여러 현상이 한꺼번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강남 3구 중에서도 강남구냐 송파구냐 서초구냐
또는 각 구에서도 대장주냐 아니냐에 따라
부동산 가격 차별화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